|
|
|
# 기본 문법
|
|
|
|
|
|
|
|
<br />
|
|
|
|
<br />
|
|
|
|
|
|
|
|
## 기본 자료형
|
|
|
|
개발자가 별도로 코드를 만들지 않아도 C# 언어에서 자체적으로 제공하는 데이터 형식.
|
|
|
|
|
|
|
|
### 정수형 기본 타입
|
|
|
|
|이름|범위|.NET Framework 형식|의미|
|
|
|
|
|-----|-----|------------------------|-----|
|
|
|
|
|sbyte|-128~127|System.SByte|부호 있는 8비트 정수|
|
|
|
|
|long|–9,223,372,036,854,775,808 ~ 9,223,372,036,854,775,807|System.Int64|부호 있는 64비트 정수|
|
|
|
|
|ulong|0 ~ 18,446,744,073,709,551,615|System.UInt64|부호 없는 64비트 정수|
|
|
|
|
|
|
|
|
### 실수형 기본 타입
|
|
|
|
|이름|크기|.NET Framework 형식|
|
|
|
|
|-----|-----|------------------------|
|
|
|
|
|float|4바이트|System.Single|
|
|
|
|
|double|8바이트|System.Double|
|
|
|
|
|decimal|16바이트|System.Decimal|
|
|
|
|
|
|
|
|
>**실수형 타입 선택 기준**
|
|
|
|
>소수점이 있는 연산을 할 때는 일반적으로 double을 사용한다. 하지만 빠른 처리 속도가 필요한 곳에서 연산하려는 값이 4바이트 실수로 충분하다면 float을 사용 할 수 있다.
|
|
|
|
>decimal의 경우 반올림 오차가 허용되지 않는 회계 계산에 적합하다.
|
|
|
|
|
|
|
|
**실수형 타입의 접미사**
|
|
|
|
``` c#
|
|
|
|
float f = 5.2f; //float의 경우에는 숫자 값 다음에 f.
|
|
|
|
double d = 10.5;
|
|
|
|
deciaml money = 200.099m //deciaml의 경우에는 숫자 값 다음에 m.
|
|
|
|
```
|
|
|
|
<br />
|
|
|
|
|
|
|
|
### 문자형 기본 타입
|
|
|
|
|이름|범위|.NET Framework 형식|의미|
|
|
|
|
|-----|-----|------------------------|----|
|
|
|
|
|char|U+0000 ~ U+FFFF|System.Char|유니코드 16비트 문자|
|
|
|
|
|string|문자열|System.String|유니코드 문자열|
|
|
|
|
|
|
|
|
문자는 작은 따옴표를 사용해 표현한다.
|
|
|
|
``` c#
|
|
|
|
char ch = 'A';
|
|
|
|
Console.WriteLine(ch); //A 문자 출력
|
|
|
|
char single quote = '\'' //작은 따옴표는 역슬래시 입력해야 표현가능.
|
|
|
|
char slash = '\\' //역슬래시는 두번입력해야 역슬래시로 표현.
|
|
|
|
```
|
|
|
|
<br />
|
|
|
|
|
|
|
|
## 기본 문법 요소
|
|
|
|
### 식별자
|
|
|
|
임의로 선택해서 이름지을 수 있는 단어.
|
|
|
|
<br />
|
|
|
|
### 변수
|
|
|
|
닷넷에서 변수의 종류는 값 형식, 참조 형식 이렇게 2가지 변수가 있다.
|
|
|
|
|
|
|
|
#### 값 형식 변수
|
|
|
|
값 자체가 스택 영역에 저장된다. 정수형, 실수형, 불린형 기본 타입 변수가 값 형식이다.
|
|
|
|
|
|
|
|
#### 참조 형식 변수
|
|
|
|
값은 힙 영역에 저장되고 그 값의 주소값이 스택 영역에 저장된다. string, 클래스, object가 참조 형식이다.
|
|
|
|
값을 할당하지 않은 string 변수는 가리킬 수 있는 힙 주소가 없기 때문에
|
|
|
|
|
|
|
|
####
|
|
|
|
|